분류 전체보기233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사업 임대조건 및 지원한도액 총정리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사업은 최저주거기준에 미치지 못하며 매우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주거취약계층에게 저렴한 임대주택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임대주택에는 매입임대, 전세임대, 국민임대주택이 있습니다. 목차 1.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사업 지원대상 2.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사업 임대기간 3.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사업 자격요건 4.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사업 주거유형 5.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사업 임대보증금 및 월임대료 6.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사업 지원절차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사업 지원대상 ▣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사업 지원대상 1. 쪽빵, 고시원, 여인숙, 비닐하우스, 노숙인 쉼터 등에서 3개월 이상 거주하는 자 2. 법무부 장관이 주거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하고 국토교통부장관에게 통보한 범죄피해자 3. 최저주.. 2023. 9. 15. LH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 임대조건 및 지원한도액 총정리 LH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은 신혼부부의 주거안정을 위하여 현 생활권에서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기존주택을 전세계약 하여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제도입니다. 전세임대주택 1. 임대기간 20년 2. 전용면적 전용 85㎡이하 3. 지원한도 수도권 1억 3천만 원, 광역시 9천만 원, 기타 지역 7천만 원 목차 1. LH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 입주대상(1,2형) 2. LH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 대상주택 3. LH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 지원 한도액 4. LH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 임대조건 5. LH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 임대기간 6. LH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 신청방법 LH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 입주대상 ▣ LH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 입주대상 1. 1형 자격기준 - 혼인기간이 7년 이내인 자 -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70% 이.. 2023. 9. 14. LH청년 전세임대주택 임대조건 및 지원한도액 총정리 LH청년 전세임대주택은 청년들이 현 생활권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기존주택에 대해 전세계약을 체결한 후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사업입니다. 그럼 자세히 알아봅시다. 전세임대주택 1. 임대기간 20년 2. 전용면적 전용85㎡이하 3. 지원한도 수도권 1억 3천만 원, 광역시 9천만 원, 기타 지역 7천만 원 목차 1. LH청년 전세임대주택 입주대상 2. LH청년 전세임대주택 대상주택 3. LH청년 전세임대주택 지원 한도액 4. LH청년 전세임대주택 임대조건 5. LH청년 전세임대주택 임대기간 6. LH청년 전세임대주택 신청방법 LH청년 전세임대주택 입주대상 ▣ LH청년 전세임대주택 입주대상 1. 무주택자이고 대상지역 내 대학에 재학 중이거나 입학예정인 대학생 2. 무주택자이고 대학 또는 고등학교 졸업하거나 중퇴.. 2023. 9. 14. 매입임대주택 입주대상 및 관련정보 총정리 매입임대주택은 저소득층 주거안정을 위해 2004년부터 시작된 사회복지적 성격의 임대주택으로 도심 내 최저소득층이 현 생활권에서 안정적으로 거주가능토록 다가구주택 등 기존주택을 매입하여 시중 전세가의 30% 수준으로 저렴하게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목차 1. 매입임대주택 입주대상 2. 매입임대주택 거주기간/임대료 3. 매입임대주택 입주절차 4.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 매입임대주택 입주대상 ▣ 매입임대주택 입주대상 (사업대상지에 거주하는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 - (1순위) 수급자, 한부모가족, 주거지원시급가구, 장애인, 아동복지시설 퇴소자 등 - (2순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의 50% 이하인 자, 100% 이하인 장애인 - (3순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의 70% 이하인 자 - (자산기준) 총자산 2억.. 2023. 9. 13.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