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원은 노인분들이 안정적으로 생활하며 필요한 보호와 관리를 받을 수 있는 공간입니다. 하지만 요양원에 입소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요양원 비용과 요양원 자격조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요양원 비용
2. 요양원 입소자격
💾 해당 내용 다운로드 및 바로가기
같이 보면 좋은 내용 (해당글 클릭)
📢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 상속세율 상속세 면제 한도액
📢 기초연금 모의계산 및 수급자격
요양원 비용
요양원 비용은 공단지원 80%에 본인 부담금 20%입니다. 그리고 비급여 항목은 100% 본인 부담금입니다.
✅ 급여비용
▪ 일반 대상자는 20%, 감경 대상자는 12% 또는 8% 부담합니다.
※ 차상위계층 및 의료 수권급자는 본인 부담금은 8~12%이고, 기초생활 수급자 본인 부담금이 없습니다.
1등급 | 2등급 | 3~5등급 |
71,010원 | 65,890원 | 60,740원 |
※ 요양급여비용은 매년 장기요양위원이 결정합니다.
※ 2022년 10월 1일부터 요양보호사 배치기준이 입소자 2.3명당 1명 이상으로 변경
✅ 비급여 항목
▪ 비급여비용은 식재료비, 간식비, 상급침실료 등이 있습니다.
✅ 간병비
▪ 일평균 12만 ~ 15만원 추가됩니다.
[관련영상 및 문서]
📰 관련 영상 (출처-온달장군)
좋은 요양원 입소 비용은 얼마일까? 대표적인 요양원 3곳 비용공개
요양원 입소자격
📌 요양원 입소자격
- 65세 이상 노인
- 65세 미만 노인성 질환을 가지고 있으신 분
- 장기요양 등급 판정을 받으신 분
📌 장기 요양등급 판정기준
▪ 장기요 양등금의 판정기준은 일상생활에서 타인의 도움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판정을 하게 됩니다. 등급은 1등급 ~ 5등급까지 나누어져 있습니다. 아래표를 참고하세요
등급 | 장기요양인정점수 | 비고 | |
1등급 | 95점이상 | ||
2등급 | 75점이상~95점미만 | ||
3등급 | 60점이상~75점미만 | ||
4등급 | 51점이상~60점미만 | ||
5등급 | 45점이상~51점미만 | 치매환자 | |
인지지원등급 | 45점미만 | 치매환자 |
📌 장기 요양등급 절차
▪ 신청인이 신청서를 제출한 날부터 30일 이내 장기요양등급 판정을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 30일 이내의 범위에서 이를 연장할 수 있습니다.
📌 장기 요양등급 방문조사
▪ 인정신청을 하게 되면 간호사, 사회복지사, 물리치료사 등으로 구성된 공단 소속장기요양 직원이 직접 방문하여 장기요양인정조사표에 따라 아래 항목을 조사합니다.
[관련영상 및 문서]
📺 2023년 노인장기 요양보험 등급별 월한도액 (영상)
📰 관련 영상 (출처-치매 똑똑)
만약을 대비해 미리 알아두는 요양원 입소자격